2013년 3월 20일 수요일

Square Wallet

Square의 Square Wallet 이라는 앱에 대해서 듣게 되어 방식이 궁금하여 조사를 해보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일까.
(한국어 기반의 앱 스코어에는 검색 조차 되지 않는다.)

한글로 된 설명은 전무하였다...




Square Wallet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1. 앱을 실행한다.
  2. Map 등을 통해 내가 가고자 하는 매장을 검색한다.
  3. 해당 매장의 메뉴를 앱 내에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한다.
  4. 매장에 도착하여 나의 ID를 말하면 매장에 있는 디바이스를 통해 등록되어있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가 완료된다.


Google Wallet 등 대부분(?)의 Wallet 시스템은 NFC 기반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Square Wallet는 NFC 기반이 아니었다.

NFC 모듈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아이폰 계열도 서비스를 하니 말이다.

NFC 결제 방식은 보안상이나 NFC 수신기 등의 디바이스의 추가 비용 문제 등으로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않다.
(아이폰에서도 보안을 핑계대어 NFC 모듈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추가를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Square Wallet의 결제 방식이 더욱 뛰어나다고 할 수 있겠다.


정확한 서비스 시스템 구현는 나와있지 않아 파악하지 못하였지만

사용법을 통하여 대략적으로 유추해보자면.

우리나라는 신용카드 결제를 하자면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모바일에서도 전용 보안 모듈을 설치하는 등 복잡하게 되어있지만

외국은 보통 신용카드 번호와 유효기간, CVS 번호만을 등록하여 결제가 진행되게 되어있다.
(국내 CGV 결제 앱 등에서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하여, 등록되어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메뉴를 바로 결제하여 구매하고,

이는 서버에 저장되고 해당 매장의 단말에서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갑에서 카드를 꺼내는것 조차 사용자의 불편으로 인지하고 개선하고자한 서비스로서 획기적이라고 할 수도 있고 기발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할인카드를 따로 꺼낼 필요도 없고, 적립 카드도 꺼내지 않게 되며 심지어 휴대폰도 꺼내지 않아도 되니 매우 편리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선물하기 기능까지 추가되어 지인에게 앱 또는 메일로 결제한 쿠폰을 선물할 수도 있게 되어있다.

하지만 시스템 구축 및 보편화가 아직 덜 되어 널리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지는 안는 듯하나.

미국의 스타벅스의 매장에서는 이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시스템이 있지 않나 싶다.

바로 소셜커머스 앱이다.

소셜커머스 앱 중에는 검색 후 바로 결제가 가능한 앱이 있다.

그리고 요즘엔 쿠폰을 사자마자 사용이 가능한 상품이 많이 등록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상품을 바로 결제하여 매장에가서 전화전호 및 확인 문자 메세지만 보여주면 이용이 끝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식하는 방식은 위에 설명한 Square Wallet과 동일하지 않나 생각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